Lesson 19 of 20
In Progress

🎓 한국 대학 입시와 관련된 표현

Berry Teacher 5월 12, 2025
39331 1678797209
한국인들이 수능을 치고 경험하는 대학교 입학 관련 용어

           1. 대입 전형 및 모집
              수시모집 vs 정시모집
      : 정시는 주로 수능(수학능력시험, 이하 수능) 성적 중심으로 수능 성적 발표 후 기간 동안 신입생을 선발하는 것을 말한다. 수시는 정시모집을 제외한 기간(9월~12월 초)에 각 대학이 자율적으로 기간과 모집인원을 정해 신입생을 뽑는다. 수시모집의 최종 합격자는 등록 여부에 관계 없이 정시모집에 지원할 수 없다.

               정원 내/외 전형
       : 나라에서 각 대학교 별로 모집할 수 있는 최대 정원을 정해둔다. 정해진 정원 안에서 선발하는 경우를 정원 내 선발, 그 외 인원을 더 선발하는 것은 정원 외 선발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정원 외 선발은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실시한다. 대표적으로 농어촌학생 전형, 특성화고교(실업계) 졸업자 전형, 특수교육대상자 전형, 재외국민과 외국인 전형, 기초생활수급자 전형, 차상위계층 전형, 한부모가족지원대상자 전형 등이 있다. 
    (***한국에 유학오는 학생들은 모두 정원 외 선발이다.)

               이중 등록
       : 입학하는 시기에 2개 이상의 학교에 등록되어 있으면 입학 취소될 수 있어서 꼭 하나의 대학에만 등록해야 한다. 
     
        2.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1994학년도부터 대한민국의 대학 입학 평가에 도입된 시험이다. 현재 시험 과목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사회/과학/직업탐구, 제2외국어, 한문이다. 2023학년도는 국어와 수학이 ‘공통 과목 + 선택 과목’ 구조로 공통과목과 선택과목 중 1개 과목을 선택 응시해야 한다. 한국어는 모든 수험생들이 필수로 응시해야 한다. 오전 8시 40분에 시작해서 오후 17:45분에 끝난다. 올해 시험을 볼 학생수는 508,030명이다.

             등급(9등급제)
       : “너 국어 몇등급이야?”로 이 학생의 시험 점수를 대략 알 수 있다. 과목별 표준점수를 기반으로 수험생을 9등급으로 나눈다. 거의 상위 4%가 1등급이다.

             상대평가 vs 절대평가
        : 상대평가는 과목별 높은 점수를 기준으로 표준을 만들어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절대평가는 시험 문제의 배점에 따라 얻은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식을 말한다. 

      글. 술술 에디터

    TOPIK 수업을 듣고 목표를 달성합시다!
    Let’s take TOPIK classes and achieve our goals!